미군의 기자 연행을 통해본 한미관계2002/07/02
인터넷 통일뉴스의 요청을 받고 작성한 글입니다. 사진과 함께 인터넷 통일뉴스에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군에 의한 인터넷방송 기자 연행을 통해본 한미관계 26일 오후 4시 의정부시 미2사단 `가리슨 캠프 레드 클라우드` 앞에서는 `미군 장갑차 여중생 고 신효순, 심미선 양 살인사건 진상규명…
새가정7월호2002/06/02
통일기행 철원역을 찾아서 이시우 비포장길을 달리던 버스 창 밖으로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버스 안 사람들의 입김으로 금새 창안쪽은 김이 서린다. 앞에 앉은 여학생이 소매를 잡아올려 서리를 지운다. 그러나 밖에 덕지가 된 흙먼지 때문에 그 노력은 무위가 되고 말았다. 밖을 보고…
테러전쟁의 약한 고리2004/03/01
테러전쟁의 약한 고리 이시우 1. 테러전쟁의 역사적 위상 냉전,문명,테러라는 개념은 2차대전 후 현재까지 세계질서를 단적으로 표현하는 말이 되엇다. 우선 이들 개념의 역사를 간략히 알아봄으로서 현재 ‘테러전쟁’의 역사적 지위를 알아보자. ‘냉전’은 얄타체제붕괴로부터 시작된다. 미국에서 왈레스와 조지케난의 대결에서 케난의 득세와 영국 처칠의…
한반도 전쟁 가능성2004/03/01
한반도 전쟁 가능성 이시우 미국의 세계전략 9.11은 미국의 90년대 예방적 방위전략의 종결과 응징전략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는 냉전과 같이 미국을 직접 위협하는 방위 위협에 대한 인식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대칭적인 냉전시대와 다른 것은 비대칭적인 열전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계지배전략을 추구하고 잇다는 점이다. 반테러전략과…
한강하구전에 즈음한 인터뷰-한영문2010/08/05
한강하구전시회를 앞두고 김 레베카선생과 진행한 인터뷰입니다. 1. “한강하구” 사진전에 오기에 앞서 2008년 당신이 출간한 (통일뉴스) 책을 읽어보았다. 이틀 내내 책을 손에서 도무지 놓을 수가 없었고, 완독을 하고난 다음에는 벅찬 감동으로 인해 온몸이 부들부들 떨렸다. 굉장한 메시지다. 한강하구가 책의 부제 그대로…
강화지역문화운동론2009/11/19
강화미학시론을 축약하여 정리한 글로 무크지 강화시선에 올라갈 원고 입니다. 강화지역문화운동론 지역 지역은 공간이다. 한축으로는 정치,경제,문화의 통합체계이고 또 한축으로는 그것의 역사,구조, 기능이 총체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우선 공간을 이야기해 보자. 첫째로 생리적인 공간이 있다. 화장실은 아무리 집단주의와 공동체를 강조하더라도 혼자만의 공간으로 설계되어…
강화미학시론2009/11/19
2009.11.21 오마이스쿨 2주년기념 세미나자료집에 들어갈 원고 ‘강화미학시론’입니다 강화미학시론 이시우 지역으로서의 강화 모든 체계는 자기 나름의 요소와 구조와 속성을 갖는다. 지역 역시 하나의 체계로 볼 수 있으므로 자기 나름의 요소와 구조와 속성을 갖는다. 한 요소는 다른요소와 관계 맺으며 구조를 이루고 구조는…
금강산 미학2009/10/11
2009년 10월8일 조계종민족공동체추진본부가 주최한 ‘금강산관광 어떻게 볼것인가?’세미나에서 발표한 글입니다. 다른 작업을 하던중이라 발제문을 쓰는 것은 부담스러웠지만 항상 제 마음속에 생각해오고 있던 화두여서 이번 참에 시론이라도 써보자해서 일주일 작업했습니다. 금강산미학은 오래전부터 말로는 해왔지만 글로 쓰기는 처음입니다. 촉박하게 쓴 글이라 허술하기 짝이…

고인돌전 출품작2009/02/19
2008년 강화민예총 주최 고인돌전 출품작 보자기를 깔고 그위에 흙을 한 삽씩 떠서 놓고 고인돌이 찍힌 사진을 꼽아서 세워놓았다. 고인돌의 이미지를 흙위에 세우고 그것을 보자기로 감싸다는의미의 연출이다. 흙은 자연을 보자기는 자연을 인간화된 단위로 만드는 행위성을 상징함으로서 사진행위를 은유하는 효과를 가진다.

블라디보스톡레닌상-독립정신기고2009/03/01
레닌의 손끝이 가리키는 유라시아를 향해 새벽기차에 몸 싣던 운동가들을 생각합니다. 내마음의 연장선이 다른이의 그것과 한 점에서 만날 때 우리는 그것을 희망이라 부릅니다. 수많은 이들의 마음이 하나의 꼭지점을 향할 때 우리는 그것을 전망이라고 부릅니다. 미래란 마음의 지도입니다. -블라디보스토크역-
최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