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5 한강하구 항행의 역사2007/01/10  1992

연재5 한강하구 항행의 역사2007/01/10 1992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6123 한강하구 항행의 역사 자료그림1 조선에 최초로 증기선을 도입한 독일이 인천-용산 항행을 위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1901년 독일인이 만든 한강항행지도. 사구와 뻘을 피해가야 하는 복잡한 수로의 모습이 표시되어 있다.-인천개발연구원자료- 뱃사람과 장사꾼의 방법 바다는 사막이다. 그 막막함으로 보자면 오아시스도 없는 철저한…

다단계업체의 후원수당분석2006/07/26 1154

다단계업체의 후원수당분석 다단계에 대해 많은 님들의 연구에 존경을 표합니다. 다른부분은 거의 공감이 가구요. 그런데 후원수당과 관련해서는 객관적인 자료가 안보이네요. 어쨌든 돈이라도 벌 수 있으면 다단계를 택한 보람이 있는 것일 텐데요. 그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암웨이를 분석해보려다 암웨이는…

연재4 한강하구의 비행과 ‘100톤급 바지선’2007/01/10  1074

연재4 한강하구의 비행과 ‘100톤급 바지선’2007/01/10 1074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5895 한강하구의 비행과 ‘100톤급 바지선’ 한강하구 항행에 대한 반성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상의 규정 때문에 민간선박의 항해만이 고민되어졌고, 한강하구배띄우기 운동은 끊어진 뱃길을 다시 복원하는 운동이면서, 비무장지대와는 달리 한강하구에서는 유엔사의 허가권 없음을 증명하므로서 유엔사의 지위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는 유엔사재조정운동이기도 했다. 그러나 뱃길복원의 문제는…

연재3 한강하구 항행규칙에 대한 해석2007/01/13 904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5639 한강 하구에서의 민용 선박 항행에 관한 규칙 및 관계사항에 대한 해석 (1953. 10. 3. 군정위 제22차 회의 비준) 정전협정은 이미 사문화 되었다는 말을 자주 들어왔다. 그래서 아예 평화협정을 체결하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다. 그러나 때론 정전협정을 사문화시키기 위해서 정전협정을 이용할…

연재2 정전협정의 한강하구 규정에 대한 해석 2007/01/10 813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5477 정전협정의 한강하구 규정에 대한 해석 1. 정전협정의 한강하구 합의 과정 정전협정 당시 북은 군사분계선을 육지 뿐 아니라 바다에도 설정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유엔사는 처음부터 육지에만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를 설정하자는 안으로 나왔다. 51년10월 정전위에서 북은 옹진반도를 포기할테니 철원을 내주고 군사분계선을 3.8선으로…

연재1 한강하구의 근본문제-관할권2007/01/10 898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5397 한강하구문제의 본질-관할권 정전협정부속합의서 한강하구항행규칙의 분석 한강하구 항행과 비행과 교량통행 한강하구 수운의 역사-시선배와 수인선 한강하구 군사사-수참에서 철책선까지 한강하구 간척사-새만금의 과거 강화 한강하구 환경-숲과 갯벌 한강하구와 전쟁의 생할사-양민학살 한강하구의 유라시아 지정학 한강하구의 근본문제-관할권 주목받기 시작한 한강하구 한강하구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서해경계선, 영해선인가 군사분계선인가? 2007/01/11 875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5279 서해경계선, 영해선인가 군사분계선인가? 사진가 이시우 판문점 장성급 회담 결렬의 파괴력은 의외로 컸다. 열차 시범운행까지 취소되었다. 북은 2000년 11월 17일 남북관리구역에 대한 유엔사와 인민군간 합의에 대해 2002년 유엔사가 지뢰상호검증단을 교환을 가로막으며 논란을 일으킨 남북관리구역에 대한 ‘관할권, 관리권’ 논쟁에 종지부를 찍을…

‘작계5027에 의한 상륙전은 위헌이다’2007/01/11 1033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4014 ‘작계5027에 의한 상륙전은 위헌이다’ 이시우 30일자 통일뉴스의 보도에 의해 밝혀진 것처럼 한미연합상륙전연습이 ’5027-04 3단계 2부를 적용한 것’이라는 군사당국자의 현장 브리핑시 발언은 처음으로 군 당국자에 의해 이같은 사실이 공식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충격을 안겨준다. 1986년 해군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의 승인으로 발간한 ‘해군전략 Maritime…

한강하구 평화지대화 전략 구상 2006/04/10 1101

한강하구 평화지대화 전략 구상   한 체계를 제대로 알기위해선 역사,구조,기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강하구의 역사는 역사적으로 4번의 계기를 거치면서 유라시아체계에 포함되어 왔다. 유라시아의 실크로드 해양로가 활성화되기 전 고인돌이 교류되던 상고시대, 몽골침략기, 양대양요기, 한국전쟁기가 그것이다. 한강하구의 생태 역시 역사적 과정과…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와 유엔사문제2006/03/20 1144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와 유엔사문제 연합사의 작통권을 환수받더라도 유엔사 고유의 작통권은 여전히 유효하다. 때문에 유엔사와 연합사의 작통권을 동시에 환수 받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전시작통권과 평시작통권 중의 핵심부분인 6가지 부분이 한미연합사령부에 이양되어 있다. 한미연합사 차원에서 행사 가능한 작통권은 한미상호방위조약에서 합의하고 있듯이…

[특별기고] ‘오산.수원.청주 미군기지에 열화우라늄탄 3백만발 있다’(123매)2007/01/11  874

[특별기고] ‘오산.수원.청주 미군기지에 열화우라늄탄 3백만발 있다’(123매)2007/01/11 874

[특별기고] ‘오산.수원.청주 미군기지에 열화우라늄탄 3백만발 있다’- 이시우 2005년 12월 19일 (월) 16:48:00 외부기고 tongil@tongilnews.com 이시우 전문기자 (tongil@tongilnews.com) ▶AFSC하와이의 간사인 카지히로가 태평양사령관 앞으로 발송한 태평양사령부하 열화우라늄탄의 전기록에 대한 정보공개청구서. [사진1 - 이시우] ▶미공군 허기스 중령의 정보공개자료에 대한 답변서 [사진2 - 이시우]…

열화우라늄탄이란 무엇인가2007/01/11  874

열화우라늄탄이란 무엇인가2007/01/11 874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1911 열화우라늄탄이란 무엇인가? 열화우라늄탄을 사용하는 무기체계 ▶7개의 포열을 가진 GAU-8 30㎜ 포가 장착되어 무장시 약 1,200발의 열화우라늄 철갑탄 발사가 가능한 미국의 `전차 킬러’ A-10 썬더볼트 전투기.주한미군 제7공군의 주력기종이다. [사진6 - 이시우] ▶30㎜ M230 기관포가 장착된 AH-64A 아파치 헬기. [사진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