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후진술 – 1 인사 2 소외 2008/01/10 1118
이시우 최후진술문 인사 한 선생님께서는 다른 판사가 입정할 때는 일부러 일어나지 않는데 유일하게 한양석판사님이 들어오실 때는 일어나서 예를 갖춘다고 하셨습니다. 사법부에 대한 불신이 컸던 분이 그럴 정도로 누가 봐도 공정한 재판을 진행해 주셨습니다. 변호사님에게나 검사님에게나 피고인인 저에게나 증인들에게까지도 치우침 없는…
최후진술 – 3 소통 4 관성 2008/01/10 808
소통 버려진 것이 소통한다는 것은 지극한 정성과 목숨을 건 비약을 통해서야 가능합니다. 아무도 관심가져 주지 않는 들꽃이 소통하는 방법을 생각해봅니다. 1cm도 안되는 땅에 박혀 움직일 수도 없는 들꽃은 최대한 자기를 아름답고 향기롭게 만들어 벌과 나비를 유혹합니다. 벌과 나비는 그저 제…
최후진술 – 5 고통의 바다 6 간절함 2008/01/10 832
고통의 바다 고통은 소외를 발견할 수 있는 통로이자 계기입니다. 아픈 부분만을 볼 것이 아니라 아픔을 통해 아픔을 소통시키고 있지도 못한 숨어있는 구조전체를 통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방에 서 아픈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침을 놓는 것은 이같은 원리의 치료방법일 것입니다. 아픈 곳에만…
최후진술 – 7 영토 2008/01/10 823
영토 우리가 조금만 민감하다면 국가보안법을 둘러싼 안보이데올로기체계의 최상위에 헌법3조 영토조항이 있음을 알아차릴 것입니다. 땅은 꿈을 꿉니다. 그 꿈을 통해 겨울이 오기도 전 미리 봄을 챙겨 준비합니다. 가을의 땅은 낙엽에게 이제 그 고단한 생을 내려놓으라고 유혹합니다. 땅은 바람에게 아직 미련을 버리지…
최후진술 – 8 원한체제 2008/01/10 799
원한체계 저는 정전체제, 분단체제와 동시에 원한체제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정전체제와 분단체제가 사회의 구조적 측면을 위주로 구분하는 개념이라면 원한체제는 구조와 사회구성원의 심리가 결합된 개념으로, 사회가 사람의 육체, 심리적 활동을 통해 맺는 관계란 점에서 구조와 심리의 결합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원한은 개인적…
최후진술 – 9 예술, 10판단2008/01/10 844
예술 ‘문명은 세권의 책을 쓴다. 자연의 책 역사의 책 예술의 책이다. 이중 가장 신뢰할 만한 책은 예술의 책’이라고 러스킨은 말했습니다. 예술이 한시대의 문명을 대표하는 거울이 될 수 있는 것은 간절함과 민감함으로 시대의 본질을 통찰하기 때문입니다. 법의 이름으로 예술의 팔다리를 잘라…
제성호 증인 퇴정하세요!2007/10/30 1146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5173 제성호 증인 퇴정하세요! 이시우(사진작가) 지난 4월 19일 국가보안법과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수감된 이시우 사진작가가 9월 14일 보석으로 석방돼 재판을 계속 받고 있다. 지난 10월 25일 11차 법정에선 검찰측 증인으로 나선 제성호 중앙대 교수가 변호인측의 심문을 회피하는 특별한 상황이…
한강하구에 쏟아지는 섣부른 공약 2007/10/30 958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3348 한강하구에 쏟아지는 섣부른 공약 이시우 사진가가 옥중에서 보내온 서신 2007년 06월 26일 (화) 18:41:56 이시우 www.siwoo.pe.kr 이시우 (사진가, www.siwoo.pe.kr) 사진가 이시우씨가 옥중에서 긴급하게 본사로 원고를 보내왔다. 내용은 유력한 대선 주자인 이명박 한나라당 경선 후보의 한강하구 공약과 관련된 것이다. 이…
<옥중기고> 작통권 환수와 비무장지대 문제2007/10/30 822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2769 작통권 환수와 비무장지대 문제-이시우 “작통권 환수 과정에서 유엔사 강화론을 차단하자” 2007년 05월 20일 (일) 23:40:00 이시우(사진가) tongil@tongilnews.com ‘평화 사진작가’ 이시우씨가 지난 4월19일 국가보안법과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지 한 달이 넘고 있습니다. 국가보안법에 맞서 33일째 단식투쟁을 지속하고 있는 이시우…
미국에게 작통권보다 중요한 것은 위기관리권2007/10/30 754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2282 미국에게 작통권보다 중요한 것은 위기관리권-이시우 2007년 04월 17일 (화) 11:33:22 이시우(사진가) www.siwoo.pe.kr 작통권 환수과정마다 튀어나온 ‘위기관리권’ 2006년 벨 사령관은 작통권 환수에 대비한 유엔사강화론을 펼치면서 한국군에 대한 ‘위기관리권’을 주장했다. 위기에서 전쟁으로의 이행에 지휘의 통일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국군에 대한 접근권이 있어야…
<나의진술4> 유엔사 작통권과 위기관리권의 역사 2007/10/30 808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46 유엔사 작통권과 위기관리권의 역사 이시우 사진가가 옥중에서 보내온 서신 2007년 07월 10일 (화) 02:45:46 이시우 www.siwoo.pe.kr 사진가 이시우 씨가 옥중에서 본사로 ‘나의 진술’을 보내왔다. ‘나의 진술’은 유엔사 문제와 관련된 일련의 글이다. 이 씨는 옥중서신 모두에서 “저의 혐의 사실에 대한…
<나의진술3> 유엔사에 북진이 허가된 적은 있었는가? 2007/10/30 786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08 유엔사에 북진이 허가된 적은 있었는가? 이시우 사진가가 옥중에서 보내온 서신 2007년 07월 06일 (금) 15:58:15 이시우(사진가) www.siwoo.pe.kr) 1) 미국 정부 내의 북진논쟁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과 서울 수복 후 유엔통합군이 38선에 접근하게 됨에 따라 전쟁의 목표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가령…
최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