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이지가쿠인대학 국제평화연구소에서 주최하는 심포지엄 “조선전쟁,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조선유엔군을 다시 묻는다” 발제문한글본
도쿄 시로카내 메이지가쿠인대학 국제평화연구소에서 주최하는 심포지엄 “조선전쟁,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조선유엔군을 다시 묻는다”에서의 저의 발표문 ‘유엔체계와 유엔사’를 첨부화일로 싣습니다. 칼 슈미트의 주권론을 헤겔 논리학과 마르크스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권력축적체계를 밝히고 이 틀로 유엔군사령부의 창립과정을 분석했습니다. 더불어 고일 선생의 30차 유엔총회시 유엔사해체결의를…

한국전쟁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주한유엔군을 다시 묻는다-메이지가쿠인대학 국제심포지엄
한국전쟁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주한유엔군을 다시 묻는다 메이지가쿠인대학 국제평화연구소 국제심포지엄 도쿄=이시우 | tongil@tongilnews.com 승인 2017.03.15 12:22:41 사진가 이시우 피청구인 박근혜가 파면된 다음날인 2017년 3월 11일, 도쿄 시로칸에 위치한 120년 역사의 메이지가쿠인대학(明治學院大學)에서는 이 대학 국제평화연구소(PRIME)가 주최한 국제심포지엄이 열렸다. 제목은 ‘조선전쟁 어떻게…

明治學院大學國際平和硏究所國際シンポジウム-’朝鮮戰爭をいかに克服するか: 朝鮮國連軍を問い直す’
明治學院大學國際平和硏究所國際シンポジウム 朝鮮戰爭をいかに克服するか: 朝鮮國連軍を問い直す 李時雨の 論文 高一の 論文 高林敏之の 論文

항쟁으로 주조한 활자-’이정희.다시 시작하는 대화’ -민중의소리 서평
항쟁으로 주조한 활자-이정희.다시 시작하는 대화 여기 항쟁의 복판에서 한권의 책이 태어났다. 항쟁이 아니었으면 신원이 불가능했을지도 모를, 아니 항쟁 속에서도 배제의 눈초리와 싸워야 했던 통진당 대표의 저술이란 점에서 이 책의 가치가 돋보인다. 프랑스 혁명의 한계선은 혁명의 주체로 인정되지 않은 외국인노동자, 성소수자들…
항쟁의 선택, 파쿠비우스냐 레닌이냐- 민중의소리 기고글
항쟁의 선택, 파쿠비우스냐 레닌이냐 이시우 사진가 발행 2016-11-09 11:36:36 수정 2016-11-09 11:36:36 이 기사는 27번 공유됐습니다 항쟁이 시작되었다. 범상치 않은 공기가 전국을 배회한다. 집회・시위란 법적용어가 바람처럼 사라지고 항쟁이란 역사적용어가 심장에서 박동치기 시작했다. 항쟁이란 낡은 공권력의 시각으로 보면 질서파괴적 시위, 폭력시위로…
러시아혁명여행 모스크바 답사지
2017년은 1917년 러시아혁명이 일어난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아마도 내년은 전세계적으로 러시아혁명을 재조명하는 논의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당대 중국공산당을 비롯 전세계 사회주의진보운동에서는 러시아혁명기의 논쟁이 예외없이 재등장하고 있다. 소련의 패망이 미국의 승리를 의미하진 않는다. 마찬가지로 소련내에서 패배한 노선이나 정책들이 어부지리로 승리했음을 의미하지도…
만주(동북3성)여행 강의자료
만주는 중국에선 동북 혹은 연변자치주라고 부릅니다. 만주란 이름은 우리에겐 익숙하지만 중국인으로서는 일제의 만주국을 떠올리게하는 치욕의 이름일때가 많습니다. 어쨌든 우리에겐 독립운동의 성지 중 하나여서 많은 분들이 독립운동의 역사를 더듬어가며 숙연하게 여행하는 곳이지요. 저는 해외독립운동을 ‘국민만들기’란 관점에서 보았습니다. 국가의 3요소를 국민, 영토,…
평화협정에 대하여-퀘이커서울모임강연원고2016.6.19
평화협정에 대하여-퀘이커강연록

이시우, 이정희 「진보를 복기하다」 이렇게 읽었다
[기고 서평] 이시우, 이정희 「진보를 복기하다」 이렇게 읽었다 이시우 작가 최종업데이트 2016-02-17 10:10:23 이시우, 이정희 (자료사진)ⓒ고소미 설 연휴가 끼어있어 주문한 책을 받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그러나 책을 펼쳐 다 읽는 데는 하루가 걸리지 않았다. 법에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아마도 며칠은…
탄저균과 싸드에 대응하는 법-4월혁명회보
탄저균과 싸드에 대응하는 법 사진가 이시우 2015년 상반기 안보문제의 최대화두는 싸드와 탄저균일 것이다. 당연히 이들은 군사문제이다. 그러나 나는 이들이 군사기술영역을 넘어서 외교정책영역까지 확장되는 전략의 일환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들 정책이 유엔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새로운 집단안보체를 예비하는 성격이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사소한 질문들- 탄저균사건집중해부(하)-통일뉴스 기고
사소한 질문들 이시우 평화활동가, 탄저균사건 집중해부 (하)사소한 질문들 이시우 평화활동가, 탄저균사건 집중해부 (하) 이시우 전문기자 | tongil@tongilnews.com 승인 2015.06.12 11:52:19 탄저균의 양 탄저균이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포자상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분리, 배양이 가능하다. 탄저균은 실 모양의 균사로 증식하다가 환경이 불리해 지면 열과…
최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