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담서원이 주최하는 저자와의 대화에 초대합니다
http://cafe.naver.com/gildam/ 길담서원에서 주최하는 ‘유엔군사령부’의 저자 이시우와 함께하는 저자와의 대화에 초대합니다. 시간: 8월30일 저녁 7시30분 장소: 길담서원 02-730-9949 (오시는 길은 지도 참조) 경복궁역 2번출구로 나와서 직진하다보면 지도상으로는 통의우체국 건너편에 우리은행건물이 나타납니다. 우리은행주차장 끝에 작은 골목이 있는데요. 그 골목의 왼편에 있습니다. 길담서원을…

유엔군사령부 서평-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569695 [신간소개]UNC 유엔군 사령부 / 이시우 지음 / 들녘 / 840쪽 / 3만 8,000원 ▶1-3-2 날짜, 기자 2013-07-29 14:37 | CBS노컷뉴스 유연석 기자 유엔군사령부에 대한 최초의 통합학문적 연구서가 나왔다. 그동안 유엔군사령부(유엔사)를 옹호하는 입장에서 행한 학문적 연구는 있으나, 유엔사의 불법성을 드러내는…

『유엔군사령부』 출간한 사진작가 이시우-통일뉴스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432 “유엔군사령부는 작위로 만들어진 작명일 뿐” 『유엔군사령부』 출간한 사진작가 이시우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승인 2013.07.25 03:55:51 7.27 정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해 다양한 행사들이 곳곳에서 열리고 있는 가운데 이시우 사진작가가 『유엔군사령부』라는 역작을 출간했다. 이미 2004년부터 ‘유엔사 해체 걷기명상’을 통해 유엔군사령부(유엔사) 해체를…

이시우 작가의 12년 고민이 책으로, ‘유엔군사령부’ 문제 전면 제기
http://www.vop.co.kr/A00000657463.html민중의소리 이동권기자의 기사 이시우 작가의 12년 고민이 책으로, ‘유엔군사령부’ 문제 전면 제기 이동권 기자 su@vop.co.kr입력 2013-07-18 14:18:13l수정 2013-07-18 14:55:29기자 SNShttp://www.facebook.com/newsvop 이시우ⓒ고소미 지난 2005년 6월 강화도에서 이시우 작가를 만났다. 한참 ‘한강하구에 평화의 배 띄우기’ 행사를 준비하고 있을 때였다. 이 작가는 군사분계선…

막강권력 유엔사 허상에서 벗어나기-한겨레신문서평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595673.html 막강권력 유엔사 허상에서 벗어나기 등록 : 2013.07.14 20:22 수정 : 2013.07.14 20:57 이시우(46)씨 유엔군 사령부 이시우 지음/ 들녘 펴냄 한 주를 여는 생각 정전협정 체결 60년, 한반도 평화 전망은 여전히 요원하다. 비무장지대 등 남북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히 평화·통일운동을 벌여…
![[저자와의 대화]‘유엔군사령부’ 평화운동 사진작가 이시우씨](http://www.leesiwoo.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3/07/l_2013071101000938200132111-290x290.jpg)
[저자와의 대화]‘유엔군사령부’ 평화운동 사진작가 이시우씨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7122120405&code=900308 이시우씨는 엄밀하고 치열한 학술연구도 결국 평화사진 작업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 정지윤 기자 [저자와의 대화]‘유엔군사령부’ 평화운동 사진작가 이시우씨 김종목 기자 “유엔사는 미군… 유엔 조직으로 여기는 통념은 착각” 평화운동가 이시우씨(45)는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을 누비던 사진작가였다. “한반도의 모순이 집중된” 그곳에서 대인지뢰로 다리를 잃은…

‘유엔군사령부’ 출간 2013년 7월 5일
출간일 2013년 07월 15일 844쪽 | 153*224mm ISBN-13 9788975276750 국내도서 > 사회 > 정치/외교 > 외교/국제정치 국내도서 > 사회 > 국방/군사 > 국방일반 이 책은 과거 한국전쟁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인 발발 책임을 묻는 집요한 연구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당시 국내문제인 내전적…
최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