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역사문화연구소에서 제작한 달력입니다. 강화는 한반도 역사의 자궁으로 비유됩니다. 강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공부하며 서로의 힘을 모아 강화의 역사를 기록했다는 점에서도 참 의미 잇는 작업이었습니다. 사진과 사진글은 제가 맡았습니다.

강화역사문화연구소에서 제작한 달력입니다. 강화는 한반도 역사의 자궁으로 비유됩니다. 강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공부하며 서로의 힘을 모아 강화의 역사를 기록했다는 점에서도 참 의미 잇는 작업이었습니다. 사진과 사진글은 제가 맡았습니다.

강화역사문화연구소에서 제작한 달력입니다. 강화는 한반도 역사의 자궁으로 비유됩니다. 강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공부하며 서로의 힘을 모아 강화의 역사를 기록했다는 점에서도 참 의미 잇는 작업이었습니다. 사진과 사진글은 제가 맡았습니다.

밤하늘에 음각된 듯 초지돈대가 조명을 받고 있었습니다. 제 스스로 빛날때 만이 역사는 자신의 것이 됩니다. -초지돈대 1875년 9월 일본의 운요호가 강화해협에 나타나 초지진에 포격을 하고 물러갔습니다. 이듬해 일본은 운요호사건의 책임을 물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1876년 2월2일 강화조약이 체결됩니다.

외규장각 치미에 걸린 빛이 눈부셨습니다. 계몽은 역사의 빛입니다. 신화와 혼돈을 역사로 바꾼 힘입니다. -외규장각 정조는 즉위 즉시 규장각을 설치합니다. 이는 왕실 도서관이자 최고연구기관이었습니다. 정조는 강화에 규장각의 분원인 외규장각을 짓게 합니다. 1782년 2월의 일입니다.

회담을 통해 평화조약을 체결한 연미정이 자리한 곳은 어쩌다가 다시 정전의 현장이었습니다. 평화만이 진정한 역사의 승리입니다. -연미정 1627년 1월 여진족이 일으킨 후금의 군사 3만이 조선을 칩니다. 정묘호란입니다. 인조는 1월29일 조정을 이끌고 강화로 피난을 오게되고 한달간의 이견조정을 거쳐 3월3일 화의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최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