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데나기지 열화우라늄탄 40만발 저장-마이니치신문 이시우 2006/08/07 564

http://www.mainichi-msn.co.jp/kokusai/america/usa_c/news/20060802k0000m040167000c.html 沖縄・米空軍嘉手納基地:劣化ウラン弾40万発を保管  沖縄県の米空軍嘉手納基地に01年当時、約40万発の劣化ウラン弾が保管されていたことが、米情報公開法に基づいて米空軍が公開した資料で分かった。湾岸戦争(91年)で米空軍が使用した劣化ウラン弾の約半分に相当する量となる。同基地は00年5月、劣化ウラン弾を弾薬庫に保管し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が、具体的な量が明らかになったのは初めて。  米ハワイ州在住の米国人平和活動家、カイル・カジヒロさんが01年2月、米太平洋軍の劣化ウラン弾に関する全記録の公開を請求。米空軍は同年8月、「嘉手納基地と韓国の烏山(オサン)空軍基地から提供された記録」として公開した。  ◇米空軍の情報公開資料で判明  資料には、劣化ウラン弾の種類や量の一覧表があり、嘉手納基地については「30MM API/HEI PGU 14B/B AJ」(30ミリ装甲貫通焼夷(しょうい)弾/高性能焼夷弾)など5種類の弾丸名と量が記載。30ミリ装甲貫通焼夷弾は、戦車や装甲車を上空から攻撃する戦闘機に搭載されるといい、5種類の総量は39万8768発に上った。また、韓国の各基地は▽水原(ス・ウォン)基地約136万発▽清州(チョン・ジュ)基地約93万発▽烏山基地約45万発--だった。  米空軍嘉手納基地は毎日新聞の取材に対し、「我々の兵器には劣化ウラン弾を使えるものもあるが、政策上、特定の弾薬の保管場所や量を明らかにすることはできない。訓練では劣化ウラン弾を使っておらず、取り扱う軍関係者や周辺地域の安全には最大限配慮している」と答えている。  今月3~6日、広島で開かれる「劣化ウラン兵器禁止を訴える国際大会」で、同じ資料を分析した韓国人平和活動家が、この問題について発表する。【遠藤孝康】  【ことば】劣化ウラン弾 原子炉や核兵器に使用する天然ウランを濃縮した後に残る核廃棄物「劣化ウラン」を弾頭に備えた弾丸。鉄や鉛などより比重が重く、貫通力に優れる。燃焼の際に放射能を帯びた微粉末が飛散することから大気や土壌などの汚染が懸念されている。また、微粉末を吸い込むと肺にとどまるため、白血病やがんなど健康被害との因果関係が疑われている。 英文を読む 毎日新聞 2006年8月2日 3時00分 400,000 depleted uranium bullets stored at U.S. Kadena base in Okinawa in 2001 Nearly 400,000 depleted uranium bullets were stored at a U.S. base in Okinawa Prefecture in 2001,…

카데나기지열화우라늄탄40만발저장-오끼나와타임스 이시우 2006/08/07 530

http://www.okinawatimes.co.jp/day/200608031300_06.html 2006年8月3日(木) 朝刊 3面 嘉手納にウラン弾40万発/01年数量判明は初  米空軍嘉手納弾薬庫地区内に二〇〇一年当時、約四十万発の劣化ウラン弾が保管されていたことが二日、米国の情報公開法に基づく、米空軍の公開資料で分かった。嘉手納基地は二〇〇〇年五月に同弾薬庫内での劣化ウラン弾の保管を認めていたが、具体的な量が明らかになったのは初めて。現在も保管されているかどうかについて防衛施設庁は「米軍は弾薬の数や移動の有無を一切、明らかにしていないため、把握していない」としている。  県の花城順孝知事公室長は「情報公開を求め、事実関係を確認した上で対応する。劣化ウラン弾にかかる管理の徹底と適切な処理を日米両政府に求めていきたい」としている。  三日から広島市内で開催される「ウラン兵器禁止を求める国際連合」(ICBUW)第三回国際大会で、韓国の平和運動家で写真家のイ・シウさんが報告する。  ICBUWの嘉指信雄広島大会実行委員長によると、〇一年二月、米国フレンズ奉仕団ハワイ支部のカイル・カジヒロ幹事が米国の情報公開法に基づき、ハワイの米太平洋軍司令部に米軍基地の劣化ウラン弾に関連する全記録の公開を申請。  米太平洋空軍は〇三年八月、「ハワイなどの米国領内には劣化ウラン弾を保管していない」と回答した上で、嘉手納基地のほか、韓国のオサン、スウォン、チョンジュの三空軍基地に貯蔵していることを認めたという。

평화의배 행사 대회사, 강화인의 입장 이시우 2006/07/29 646

7.27 한강하구 평화의 배 띄우기 대회사 [출처] 평화의 배 띄우기 조직위 [발행일] 2006/07027 [저자] 박성준 [첨부] 대회사 삼천리 금수강산 중간 허리를 가로질러 흐르며 찬란한 문화의 젖줄이 되어주던 어머니 강, 한강! 그러나 53년 정전이후 그 강의 입구인 조강은 오늘까지 분단으로 막혀…

한미 연합사령관 계룡대 방문시 언급내용 요약 이시우 2006/07/29 661

한․미 연합사령관 계룡대 방문시 언급내용 요약 ○ 수준높은 의장행사와 더불어 따뜻하게 환영해 주신 데 대해 감사 드림. ○ 주한미군과 대한민국 국군은 깊은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긴밀하고도 생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호 신뢰와 믿음을 가지고 있음 – 대한민국 육군은 역사적으로 대한민국을 외세로부터…

제주 맥내브 기지 오염 덩어리 이시우 2006/07/26 669

제주 맥내브 기지 오염 덩어리… 환경정화 시급 기준 3배이상 초과 [쿠키뉴스] 2006년 07월 26일(수) 02:45 [쿠키 사회] 최근 반환된 도내 유일한 주한미군기지인 대정읍 모슬봉 소재 ‘맥내브 캠프’가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토양오염 수준은 환경정화가 시급히 필요한…

부산 엔터프라이즈항모입항 이시우 2006/07/19 827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호가 18일 오전 10시께 부산의 해군 제3함대기지(부산시 용호동 백운포 매립부지)에 먼저 입항했다. 엔터프라이즈호 입항과 관련해, 군 관계자는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는 관련이 없다고 밝힌 적이 있지만 시민사회단체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국면과 관련된 것이라며 입항을 비판해 논란이 예상된다….

미군이 제공했다던 지뢰매설도 어디로-시민의신문 이시우 2006/07/01 740

미군이 제공했다던 지뢰매설도 어디로? 미군, 한국군에 매설도 등 자료제공 주장 국방부, “관련 자료가 없다” 미군, 지뢰매설 입장 번복 2006/2/9 박신용철 기자 psyc@ngotimes.net “주한미군은 안전한 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사용되지 않은 지뢰들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한국 내에서 지뢰들을 설치한 적이 없다….

한강하구 중립수역 평화적 이용은 민족사적 사건 이시우 2006/07/01 820

한강하구 중립수역 평화적 이용은 민족사적 사건 | DMZ/민통선 문제 2006/06/22 10:13 http://blog.naver.com/kihodove/20025230226 한강하구의 평화적이용은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는 지난 1992년 자유로를 건설하면서 한강하구 중립수역으로 바지선을 통과시킨 사례가 있었다. 한강하구를 평화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남한에서 육로 수송로를 대체할 수 있어 물류비용의 천문학적 절감을…

육군후방사 대구에 창설 이시우 2006/06/22 963

http://news.media.daum.net/politics/dipdefen/200606/21/kukinews/v13118774.html [단독]육군 후방사 2007년 대구에 창설…전시작전권 환수대비 합참 전쟁능력 강화 [쿠키 사회] 육군 후방작전사령부가 내년말까지 현재 2군 사령부가 자리잡고 있는 대구광역시에 들어선다. 2군사령부와 예하 부대로 충청남·북도와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를 관할해 왔던 9군단과 11군단은 해체된다. 이와함께 2010년 말까지 1·3군 사령부의 기능과 역할을…

비파괴검사종류 이시우 2006/06/21 1354

비파괴검사 기술이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60년대 초이며 정부의 경제개발계획에 의한 중화학공업 입국정책에 따라 석유화학플랜트, 발전플랜트 등 각종 플랜트가 건설되었고 또 조선공업, 방위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비파괴검사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면서 그 기술이 우리나라에 정착하게 되었다. 비파괴검사 방법에는 방사선투과검사,…

발사 대기 북 미사일 정체는,“사정거리 1만km 이상 .. 이시우 2006/06/21 756

발사 대기 북 미사일 정체는,“사정거리 1만km 이상 대포동2호 개량형” [한겨레 2006-06-21 02:45] [한겨레] 북한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발사 직전에 있는 대포동2 미사일은 사정거리가 1만∼1만2천㎞로 늘어나는 등 상당한 수준의 성능으로 개량된 대포동2C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미사일에는 1998년 북한이 발사했다고…

조약법에관한비엔나협약 1969 -국영문 이시우 2006/06/12 1819

조약법에관한비엔나협약 이 협약의 당사국은, 국제 관계의 역사에 있어서 조약의 근본적 역할을 고려하고, 제 국가의 헌법상 및 사회적 제도에 관계없이 국제법의 법원으로서 또한 제 국가간의 평화적 협력 을 발전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조약의 점증하는 중요성을 인정하며, 자유로운 동의와 신의성실의 원칙 및 「약속은 준수하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