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마산교구 강의 동영상- 작은연방제론 2023.6.14

평화아카데미 2023 정전협정, 군사합의 작은연방! 강사: 이시우(평화운동가)천주교 마산교구 민족화해위원회 https://www.youtube.com/watch?v=xAmGptRAKYM 천주교 마산교구 1회 민족화해상에 김영만 씨 박신 기자 (pshin@idomin.com)노출 2023-06-09 11:01 금 댓글 0 천주교 마산교구 민족화해위원회가 제1회 민족화해상에 김영만(78) 씨를 선정했다. 대북 협력사업과 북한 이탈주민 정착 등을 지원하는 위원회는…

글 작은연방제론 2023.6.9

목 차 (1) 정전협정의 부존재 1) 정전협정 형식의 문제로 인한 부존재 1. 정전협정체결주체로서 한국의 부존재 2. 서명자 오류에 의한 협정의 불성립 2) 정전협정 내용의 문제로 인한 부존재 1. 유엔사의 점령자지위가 갖는 위헌성으로 인한 협정불성립 2. 정전협정의 예외상태로 인한 협정불성립 3)…

6.15 23주년 국제학술토론회 -작은연방제론 발표

6월 9일 6.15선언발표 23주년을 맞아 6.15학술본부에서 국제학술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이 토론회에서 저는 9.19남북군사합의서를 작은연방제로 발전시킬 경로에 대해 발표합니다. 작은연방제론은 직년 인천시용역보고서에 처음 소개한 이래 이번에 좀 더 다듬어 보았습니다. 공식석상에서의 발표로는 최초의 발표라 하겠습니다.

글 제주4.3통일운동론 2023.5.10

아래 글은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제주통일청년회, 제주틍일평화교육센터가 주최한 2023년 5월 10일 이시우 평화운동가 4·3 특별강연 <4.3에서 통일로> 강연 자료로 이시우 작가가 쓴 것 입니다. 작가와 주최측의 동의를 얻어 글을 첨부하니 많은 참조 부탁드립니다. 79 페이지로 분량이 길어 첫번째 페이지만 복사해 올립니다. 전문은…

4·3의 미래, 독립운동가 리더십에서 찾자. 도외지역 답사 ‘통일국가 건립’ 의제 던진 첫 사건 … 정명해야-제주투데이2022.10.20

“4·3의 미래, 독립운동가 리더십에서 찾자” 도외지역 답사 ’4·3평화통일아카데미’ : 강화중앙교회이시우 “‘통일국가 건립’ 의제 던진 첫 사건 … 정명해야” 기자명박지희 기자bathi@ijejutoday.com 다른 기사 보기 • 입력 2022.10.20 17:38 인천 강화군에 위치한 강화중앙교회. (사진=박지희 기자) 가파른 언덕을 오르니 빨간 벽돌로 이뤄진 서양식…

2023년 4월 20일 이사하다.

타이거여단 전적비 앞 ‘유엔사 깃발’은 내려가야 한다

“타이거여단 전적비 앞 ‘유엔사 깃발’은 내려가야 한다” 가짜 ‘유엔사’ 해체를 위한 국제캠페인 실행위, ‘불법 유엔 깃발 사용’ 주장하며 문제제기 23.02.17 10:02l최종 업데이트 23.02.17 10:02l이명옥(mmsarah) 2월 16일 오후 3시 가짜 ‘유엔사’ 해체를 위한 국제캠페인 실행위는 유엔 깃발을 내리기 위해 강화 교동도에…

가짜 ‘유엔사’ 해체를 위한 깃발 묶기 (3탄)

가짜 ‘유엔사’ 해체를 위한 깃발 묶기 (3탄) 기자명 고은광순 객원편집위원 입력 2023.02.17 09:34 수정 2023.02.17 10:22 댓글 0 강화 교동 을지타이거여단 전적비에 펄럭이는 가짜를 묶어라! 3차 가짜 “유엔사” 해체를 위한 깃발 묶기 (강화 교동 을지타이거여단) 유엔사령부는 얼핏 규모와 조직이 작은…

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7164 “유엔사”의 의심스러운 정전협정해석 이시우 “유엔사군정위”는 26일 작년 12월 26일 ‘무인기사태’ 당시 남북모두 정전협정 위반행위를 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유엔사”의 정전협정해석은 그 적법성이 의심된다. 결론을 먼저 말하면 북과 남은 정전협정을 위반하지 않았다. 북은 정전협정이 무효화되었고 남은 정전협정이 부존재 한다. “유엔사군정위”는 남과…

글이 길이 일부만을 발췌해서 올렷습니다. 전체 글은 아래 PDF를 열어보시기 바랍니다. 보기 드문 가족사진집 이시우 사람의 뛰어난 능력은 변화하는 것에서 변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는 것이다. 매번 찾아오는 계절은 한 번도 같은 적이 없지만 우리는 어떤 시간을 가을이란 한 단어로 통칭한다….

2023년 1월 1일 권력론의 집필을 시작하다.

글 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를 위하여: 작은 연방 – 계간 통일코리아 2022겨울호

작은 연방 사진가 이시우 비무장지대평화지대는 1970년부터 지금까지 정권의 성격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제안되어 왔다. 필자는 평화지대의 미래상을 작은 연방으로 규정하고 낮은 단계연방으로 가는 과도기 단계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작은 연합 – 공동행정권 9.19남북군사합의서가 정하고 있는 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 한강하구의 남북공동이용수역, 서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