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곳이 몸의 중심이다.

문대통령의 장애인의 날 메세지에서 ‘우리의 몸의 중심은 머리도, 심장도 아니고 ‘아픈 곳’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오마이뉴스 구영식기자가 이 말의 출처를 찾다가 저와 최진섭작가의 대담집 ‘사진, 평화를 상상하다’에서 발견하신 모양입니다. 이 말은 제가 국가보안법사건재판 1심 모두진술에서 인용했던 말입니다. “우리 몸의 중심이 어디일까라는 질문에…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전시회

민변이 작년부터 준비하신 국가보안법전시회가 드디어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저의 사건에 대한 설명도 다음과 같이 한부분에 마련하셨답니다. 감시문제에 촛점을 맞추신 것 같습니다. 남영동대공분실자리에서 진행되는 전시에 관심부탁드립니다. 온라인전시관 https://dhrm.or.kr/online-exhibit [국가보안법 전시회 추진위][보도자료]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전시회 기자회견 g 2020년…

전작권이양은 위헌인가 – 흥사단시민사회연구소토론회 동영상과 자료집20.7.14

어제 7월14일은 70년전 이승만이 맥아더에게 작전지휘권을 이양한 날인데 흥사단에서는 전작권환수와 관련 유엔사가 전작권을 계속 행사하려는 의도를 보이는데 대한 대비책으로 애초의 전작권이양 자체가 무효임을 확인하는 캠페인을 고민하신 것 같습니다. 저는 이 토론 발제에서 7가지의 근거를 들어 그 무효성을 주장합니다. 절반은 논쟁적…

글 한강하구, 유엔사를 넘어 남북민간관리위원회로의 항행

2020평화의배조직위원회가 송영길 외통위원장, 설훈의원실과 공동으로 7월 9일 국회에서 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날 발표한 글입니다. 정전관리문서가 정전협정이 아닌 유엔사규정임을 부각시킨 점이 이글의 성과입니다. 통일뉴스에도 같은 글이 실렸습니다.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725 글 한강하구, 유엔사를 넘어 남북민간관리위원회로의 항행

한강하구중립수역을 평화의 바다로, 국회토론회 신문보도

‘중재 외교’ 한계 드러낸 한강하구 남북협력 윤설아 기자발행일 2020-07-10 제3면글자크기 페이스북카카오톡링크메일보내기인쇄 ’2020한강하구평화의배띄우기 조직위’ 토론회 남북민간관리위 설립등 의견 제기 한강하구 중립 수역을 평화의 바다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더 자주적인 평화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종대 정의당 한반도 평화본부장은 9일 더불어민주당…

유엔사의 실체 유튜브동영상 – 천주교광주대교구사제연수초청강의 2020.6.17

https://www.youtube.com/watch?v=LrcMLOUxfko 2020년 6월 17일 천주교광주대교구사제연수에 초정되어 광주교구청 대건문화관에서 ‘유엔사의 실체’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드린 바있습니다. 광주전남지역 신부님들의 뜨거운 관심과 사목국의 따뜻한 환대와 특히 김희중대주교님의 적극적인 관심과 생각치 못했던 큰 제안으로 많은 격려와 힘을 받은 강연이었습니다. 오늘 사목국에서 강연영상을 공들여 제작하셔서 보내주셨습니다….

건평동 – 몽피 김경학화백

잊고 있었는데 몽피 김경학화백이 그린 건평리 그림을 발견했습니다. 강화 건평리에 살때 지붕에 물이세서 땜질을 하고 있었는데 지나던 김화백이 지금은 이장한 이면백선생묘자리에서 무엇을 그리더니 나중이 이 그림이 되어 발표되었습니다. 건평리는 ‘민통선평화기행’과 ‘유엔군사령부’가 집필된 곳입니다. 몽피선생은 제 사진한점과 이 그림을 물물교환했고 지금…

글 한국전쟁과 유엔사의 시작 – 월간참여사회 2020년 6월호

월간참여사회 2020년 6월호 (통권 276호) 한국전쟁, 유엔사, 방위비 분담금, 용산공원…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모두 현재진행중이며 그 중심에 ‘미군’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1950년 6월 25일, 냉전의 한 가운데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한반도는 반세기 넘는 정전위기에 놓여 있으며 전쟁의 상흔은 굴곡진 근현대사에 기생하여 지금까지…

글 「국민입법제를 도입하자」 나는 이렇게 읽었다 – 민중의소리서평

[서평] 「국민입법제를 도입하자」 나는 이렇게 읽었다 헌법가운데 단 하나만 먼저 바꿔야 한다면 바로 국민입법제 도입이다! 이시우 사진가 발행 2020-05-29 17:12:56 수정 2020-05-29 17:12:56 이 기사는 28번 공유됐습니다 이정희 전 대표 신간 ‘국민입법제를 도입하자’ 이정희 전 대표 신간 ‘국민입법제를 도입하자’ⓒ민중의소리 팜플렛…

国連軍司令部の非武装地帯統制の問題点と解決法案 写真作家李時雨(www.leesiwoo.net)翻訳 Kim Kong Ir 目次 1.停戦協定上国連軍司令部の軍事統制の性格 1)南北管理区域創設時に明かされた国連軍司令部の論理 2)台城洞に対する国連軍司令部規定が明かした国連軍司令部の論理 3)国連軍司令部の軍事統制地域の性格区分 2.38度線以北における国連軍司令部軍統制権の法的無効性 1)1950年10月7日の国連総会決議での法的無効性 2)1950年10月12日のアンカーク臨時委員会での内部決定 3.非武装地帯出入問題に対する段階的解決法案 1)第一段階現状維持 2)第二段階現状拡張 3)第三段階現状変更 国連軍司令部の非武装地帯統制の問題点と解決法案

세상의 가장 아픈 곳에 카메라를 들이대다  인천시인터넷신문 i-View 2020.3.11

세상의 가장 아픈 곳에 카메라를 들이대다 |발간일 2020.03.11 (수) 14:11 강화에 둥지튼 평화운동가 이시우 작가​​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에 작업실을 둔 사진작가 이시우, 그에게는 평화운동가, 국제문제전문가, 저술가, 통일운동가라는 여러 명칭이 따라다닌다. ‘자신의 본업은 사진 작가’라고 잘라 말하는 이시우 작가를 기자는 평화운동…

[서평]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 오마이뉴스 20.2.9

일본 언론인이 본 ‘서부영화 단골’ 존 웨인 사망원인 [서평]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20.02.09 00:34l최종 업데이트 20.02.09 00:34l 이명옥(mmsarah) 2007년 태안반도에 기름유출사고가 났을 때 헌 옷가지를 들고 자갈밭 기름을 제거하기 위한 자원봉사를 한 적이 있었다. 자갈에 묻은 시커먼 기름을 닦아내며 나는…